Roblox로 공학용 게임 만들기

작년부터 Roblox 기능을 공부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내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보고도 한심하다는 생각이…ㅠㅠ 이번에 ChatGPT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로 되어 있던 부분을 서버 스크립트로 바꾸고 여러가지 효과를 쉽게 구현할 수 있었음. 생산성은 50배 정도 좋아진것 같습니다. 차후에 ChatGPT로 어떻게 개발하였는지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지금은 먼저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공유합니다. Continue reading “Roblox로 공학용 게임 만들기”

비상사태와 이러닝(5): 강의사례: 도구 사용의 중요성

온라인으로 하는 강의는 신뢰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은것 같습니다. 현재 교육부가 내놓은 정책을 보더라도 동영상을 몇시간을교수자가 제작을 해야 한다던가, 학습자는 출석 체크를 시간으로 통제 한다는 등의 정책을 보면 그러한 잘못된 시각으로 보는 온라인 강의는 불안할 수 밖에 없습니다. Continue reading “비상사태와 이러닝(5): 강의사례: 도구 사용의 중요성”

비상사태와 이러닝(4): 강의사례: 온라인 강의의 핵심

코로나 사태로 온라인 강의를 처음 진행하는 교수자가 많습니다. 대학에서는 온라인 강의를 현재 5월초까지 진행한다는 내용을 공문으로 보내왔습니다. 그때가 되어 면대면 강의를 진행할 수 있을지도 아직은 장담할 수 없습니다. Continue reading “비상사태와 이러닝(4): 강의사례: 온라인 강의의 핵심”

SW 발전 유공 정부 포상 장관상을 받으며…

SW 발전 유공 정부 포상으로 장관상을 받았습니다. 나라가 안밖으로 뒤숭숭한데 상을 받는다는게 어색하고 불편하더군요. 그래서 조용히 넘어가려고 했는데 다음날 신문에도 기사가 나왔습니다. 기사를 보니 기분도 새롭고 내가 무슨 공을 세웠나하고 생각해 보니 그리 상 받을 일이라고는 Moodle을 보급하고 OKMindmap 서비스를 무료로 보급한 것이겠지요. Continue reading “SW 발전 유공 정부 포상 장관상을 받으며…”

오픈소스와 교육: (ODA 사업에의 OSS, OER 활용)

얼마전 교육부의 2018년 자료중 중남미 “개도국 교육정보화 현황 분석을 통한 전략적 교육ODA 추진방안 연구”라는 보고서를 보게 되었는데.. 오픈소스, 특히 무들과 OKMindmap의 활용에 대해 강조한 내용을 보게 되었습니다. 오픈소스에 관심을 가지고 저와 같은 관심을 갖게되는 분들이 생기는 것 같아서 매우 반가왔습니다. Continue reading “오픈소스와 교육: (ODA 사업에의 OSS, OER 활용)”

오픈소스를 이용한 이러닝 구축및 활용 방안

한국의 ODA 사업이 확산되면서 외국에서 우리나라의 발전된 교육 모델을 배우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관심 국가에 따라 이러닝 하드웨어 또는 네트워크 환경과 솔루션, 콘텐츠, 서비스들이 각각 다르므로, 각 지역에 알맞은 보급 및 확산 방법이 필요하지만 오픈소스 교육 도구의 활용과 같은 내용은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오픈소스를 이용한 이러닝 구축및 활용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