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dle에서는 LTI 를 지원합니다. 두개의 서로 다른 서비스(Moodle-Moodle, Moodle-Canvas, Moodle-Sakai) 등과 같이 2차 LMS에 로그인 할 필요없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LTI 1.3에서는 기능이 더욱 정교해 졌는데, (Assignment and Grade Services v2.0, Names and Role Provisioning Services v2.0 and Deep Linking v2.0)와 같이 세가지 핵심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내용은 다음의 링크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필요한 경우 원본을 확인하기 바랍니다. Continue reading “Moodle에서의 LTI 1.3 활용”
구글 Bard와 chatGPT 4.0 비교
생성형 AI가 대세인 시대에 마침 chatGPT의 인기가 시들해 졌다는 기사가 나왔네요. 원인으로는 직접 API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중계하는 시도가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사용자 직접 접속률이 떨어졌다는 주장과 경쟁력이 있는 다른 서비스들이 출현해서 그렇다는 주장등이 있습니다. 궁금한 김에 Bard를 사용해 보고 비교 분석해 보았는데요. 극히 주관적인 분석이라 생성형 AI의 응답을 믿는 수준으로(^^) 저의 블로그를 접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Continue reading “구글 Bard와 chatGPT 4.0 비교”
101가지 Moodle 사용법 공개
책으로 출판된 “101가지 Moodle 사용법”의 내용을 위키에 올렸습니다. 다음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에 대한 내용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101가지 Moodle 사용법 공개”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3)
새로 설치한 Docker의 Moodle에 기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을지 시도해 보고자 합니다.
- 대용량 강의 백업 파일을 올릴 수 있을까?
- 업로드가 불가능하다면 FTP로 직접 올리고 강좌를 풀면 어떨까? Continue reading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3)”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2)
먼저 백업 파일을 이용해서 강의를 복구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Moodle 테스트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Docker를 이용해서 설치해 보았습니다. Continue reading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2)”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1)
10년 넘게 사용하던 http://moodle.co.kr 의 사이트에서의 강좌운영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퀴즈의 변경과 활동의 복제, 강의의 복제등을 실행할 때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Continue reading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1)”
ICDE 2022 발표 내용
ICDE (International Council for Open and Distance Education) 은 세계 각국의 원격교육을 담당하는 방송대학교의 협의체로 해마다 행사를 진행합니다. 각국 방송대의 책임자와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연사로 발표할 수 있는 영광스러운 기회를 가졌습니다. Continue reading “ICDE 2022 발표 내용”
메타버스 활용: Mozilla Hub의 수업 활용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메타버스가 학습을 완벽하게 지원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한동안은 전문적인 학습 지원 시스템인 LMS와 연계 사용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이에 대한 이상적인 방식으로는 SLOODLE 이라고 Second Life와 Moodle을 연계해서 사용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메타버스 활용: Mozilla Hub의 수업 활용”
Moodle log에서 엑셀 변환으로 출석부 만들기
학기말 때마다 학교에서 출석부를 제출하라고 합니다. 출석을 챙겨서 부르지 않은 이유중의 하나는 어차피 무들을 이용해서 하는 수업중에 퀴즈나 다양한 실시간 활동을 통해서 적립된 성적이 과제 성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Continue reading “Moodle log에서 엑셀 변환으로 출석부 만들기”
Integrate different LMS courses and services using LTI (LTI를 이용한 LMS 연동)
학회에 발표한 내용입니다. 서로 다른 LMS를 연동하여 강의와 서비스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영어자막을 첨부하였습니다.
영문 초록
Since the advent of the Covid-19 crisis, the production and use of online lectures has drawn attention. Even before the crisis, there had been a movement to share and spread online lectures through sharing systems such as MOOC and OCW for a long time, and this movement must be able to Continue reading “Integrate different LMS courses and services using LTI (LTI를 이용한 LMS 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