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출판된 “101가지 Moodle 사용법”의 내용을 위키에 올렸습니다. 다음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에 대한 내용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101가지 Moodle 사용법 공개”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3)
새로 설치한 Docker의 Moodle에 기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을지 시도해 보고자 합니다.
- 대용량 강의 백업 파일을 올릴 수 있을까?
- 업로드가 불가능하다면 FTP로 직접 올리고 강좌를 풀면 어떨까? Continue reading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3)”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2)
먼저 백업 파일을 이용해서 강의를 복구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Moodle 테스트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Docker를 이용해서 설치해 보았습니다. Continue reading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2)”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1)
10년 넘게 사용하던 http://moodle.co.kr 의 사이트에서의 강좌운영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퀴즈의 변경과 활동의 복제, 강의의 복제등을 실행할 때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Continue reading “Moodle의 오류 발생과 문제해결 방법 (1)”
ICDE 2022 발표 내용
ICDE (International Council for Open and Distance Education) 은 세계 각국의 원격교육을 담당하는 방송대학교의 협의체로 해마다 행사를 진행합니다. 각국 방송대의 책임자와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연사로 발표할 수 있는 영광스러운 기회를 가졌습니다. Continue reading “ICDE 2022 발표 내용”
메타버스 활용: Mozilla Hub의 수업 활용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메타버스가 학습을 완벽하게 지원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한동안은 전문적인 학습 지원 시스템인 LMS와 연계 사용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이에 대한 이상적인 방식으로는 SLOODLE 이라고 Second Life와 Moodle을 연계해서 사용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메타버스 활용: Mozilla Hub의 수업 활용”
Moodle log에서 엑셀 변환으로 출석부 만들기
학기말 때마다 학교에서 출석부를 제출하라고 합니다. 출석을 챙겨서 부르지 않은 이유중의 하나는 어차피 무들을 이용해서 하는 수업중에 퀴즈나 다양한 실시간 활동을 통해서 적립된 성적이 과제 성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Continue reading “Moodle log에서 엑셀 변환으로 출석부 만들기”
Integrate different LMS courses and services using LTI (LTI를 이용한 LMS 연동)
학회에 발표한 내용입니다. 서로 다른 LMS를 연동하여 강의와 서비스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영어자막을 첨부하였습니다.
영문 초록
Since the advent of the Covid-19 crisis, the production and use of online lectures has drawn attention. Even before the crisis, there had been a movement to share and spread online lectures through sharing systems such as MOOC and OCW for a long time, and this movement must be able to Continue reading “Integrate different LMS courses and services using LTI (LTI를 이용한 LMS 연동)”
Online Class Model (Ongoing 온라인 수업 모델)
학회에 발표한 내용입니다. 코로나 환경에서 필요한 새로운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습니다. 영어와 스페인 자막을 넣었습니다.
영문 초록
The method of classifying lectures before Corona was divided into online, offline, and blended. Now, it has changed into a unique lecture environment that is conducted only by online. Now, we are talking about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lassification methods as the mainstream differentiation. Continue reading “Online Class Model (Ongoing 온라인 수업 모델)”
페북라이브에서 컴퓨터 소리 넣기
페북 라이브 방송을 Zoom을 이용해서 진행하는데 번번히 실패를 했는데요. 문제는 나의 목소리와 화면을 페북 라이브로 보내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Zoom을 통해서 나오는 컴퓨터의 소리가 전달되지 않아서 정작 페북 라이브로 방송에서는 제 목소리만 나오는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Continue reading “페북라이브에서 컴퓨터 소리 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