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dle에서의 LTI 1.3 활용

Moodle에서는 LTI 를 지원합니다. 두개의 서로 다른 서비스(Moodle-Moodle, Moodle-Canvas, Moodle-Sakai) 등과 같이 2차 LMS에 로그인 할 필요없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LTI 1.3에서는 기능이 더욱 정교해 졌는데, (Assignment and Grade Services v2.0, Names and Role Provisioning Services v2.0 and Deep Linking v2.0)와 같이 세가지 핵심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내용은 다음의 링크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필요한 경우 원본을 확인하기 바랍니다. Continue reading “Moodle에서의 LTI 1.3 활용”

구글 Bard와 chatGPT 4.0 비교

생성형 AI가 대세인 시대에 마침 chatGPT의 인기가 시들해 졌다는 기사가 나왔네요. 원인으로는 직접 API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중계하는 시도가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사용자 직접 접속률이 떨어졌다는 주장과 경쟁력이 있는 다른 서비스들이 출현해서 그렇다는 주장등이 있습니다. 궁금한 김에 Bard를 사용해 보고 비교 분석해 보았는데요. 극히 주관적인 분석이라 생성형 AI의 응답을 믿는 수준으로(^^) 저의 블로그를 접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Continue reading “구글 Bard와 chatGPT 4.0 비교”

ChatGPT를 이용한 Roblox 게임 개발 수업

본기사는 chatGPT를 이용하여 작성되었으며 다음의 링크에서 작성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로블록스 코딩과 ChatGPT를 활용한 학습 환경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이번 수업 프로젝트에서는 학생들이 어떻게 게임을 개발하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Continue reading “ChatGPT를 이용한 Roblox 게임 개발 수업”

Roblox로 공학용 게임 만들기

작년부터 Roblox 기능을 공부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내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보고도 한심하다는 생각이…ㅠㅠ 이번에 ChatGPT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로 되어 있던 부분을 서버 스크립트로 바꾸고 여러가지 효과를 쉽게 구현할 수 있었음. 생산성은 50배 정도 좋아진것 같습니다. 차후에 ChatGPT로 어떻게 개발하였는지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지금은 먼저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공유합니다. Continue reading “Roblox로 공학용 게임 만들기”

아두이노 오실로스코프

오실로 스코프는 사양에 따라서 몇십만원에서 몇백만원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전기및 전자 분야에서는 실험 실습과 연구에 필수 장비입니다. 요즘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오실로스코프를 자작하여 사용하는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물론 성능과 기능면에 있어서 제약이 있지만 기초 실험을 할 수 있을 정도는 가능합니다.  물론 공개된 기술이 있군요. Continue reading “아두이노 오실로스코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