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학회 무료로 만들기

지난 주에 2020 추계 이러닝학회를 성공리에 마쳤습니다.  프로그램은 https://youtu.be/Qkuy1F6R79k 에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 이번 방송은 Zoom으로 패널간 화상회의를 진행하면서 그 내용을 유튜브 스트리밍으로 내 보내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진행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Zoom 계정확보, 유튜브 계정 확보
  • 유튜브 스트리밍을 연다.

“실시간 스트리밍을 시작하려면 스트리밍 소프트웨어를 연결하세요.” 메시지가 나오면서 스트리밍 서비스 대기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 Zoom의 More 에서 Live on YouTube를 누르면 열린 스트리밍을 찾아서 방송을 시작한다.

  • 동영상이나 유튜브를 미리 받아 놓고  틀어주는 것도 가능한데 이럴 경우 공유시 꼭 “Share computer sound”를 선택하여 오디오가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닝학회는 일부는 먼저 강사에게 유튜브에 동영상을 업로드 하도록 부탁하고 이를 틀어준 다음 10분을 질의응답을 위해서 Zoom으로 접속하기를 요구하였습니다. 연락과 Zoom 접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두명의 관리 인력을 사용하였는데 수행해야할 역할과 준비물,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준비물: 컴퓨터 2대 폰 1대 (한대는 스트리밍 용으로 컴퓨터 사양이 높은게 좋으며 유선 랜으로 필히 연결, 다른 하나는 좌장이나 발표자가 현장에서 참여하는 경우 사용할 컴퓨터로 가능한한 유선 랜 연결, 추가로 유튜브 스트리밍을 모니터링 하는 컴퓨터로 패드나 스마트폰을 사용 가능),  컴퓨터는 세컨드 모니터 사용 권장, 방송용 마이크나 잡음 제거 헤드셋 (화자가 여럿일 때) 필요.
  • 앞의 과정에 따라 스트리밍 환경 셋업
  • 현장 발표자의 경우에는 셋업된 Zoom으로 진행하고, 현장 발표자를 위하여 대기실 확보가 필요함.
  • 유튜브 방송자의 경우 페북메신저와 카톡으로 유튜브 중계 시작하면서 관리자 1이 동영상을 방송하면서 관리자 2가 발표후 10분 질의 응답 대기를 발표자에게 연락 요청하면서 Zoom주소를 송부, 관리자 1, 2 모두 발표자 제목, 연락처등의 정보를 구글 시트로 공유. 관리자 1에게는 Zoom Host 권한 부여.
  • 좌장도 원격으로 Zoom으로 참여 권장. Zoom 에는 좌장, 발표자, 관리자와 기타 패널이 몇명 들어오는 것이 가능
  •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다른 컴퓨터나 스마트 폰으로 계속 감시하면서 모니터링
  • 비상 연락 전화(또는 SNS) 응대 24시간 가능해야함 (관리자 2는 방송중 긴급 콜 처리)
  • 전체 상황을 가정하여 관리자 2의 리허설 연습 필요
  • 발표일은 1시간 30분 정도 이전부터 준비가 필요

다음의 내용은 이번 학회의 결과 동영상입니다. 스트리밍의 잠시 중단 기능이 있을 텐데 그냥 통으로 스트리밍을 하면서 자동 녹화가 되어 8시간이 되었습니다. 유튜브 동영상 온라인 편집이 너무 길어서 불가능하다고 하네요. 다음에는 스트리밍을 잘라서 운영해야할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Qkuy1F6R79k

앞의 내용을 동영상으로 제작 하였습니다.

https://github.com/wonyho/OnlineConference 에 가시면 Code의 “Download Zip”에서 학회 홈페이지 코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개선점: 지금 현재 채널은 두개로 만들어져 있고 생방송이 진행될 때 마다 “준비중”, “방송중” 이라는 설정을 바꾸고 유튜브 스트리밍 URL도 코드를 수정하는 식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왼쪽 서브메뉴의 “실시간 포럼 참여” 메뉴에 “LIVE”라는 글자도 스타일로 적용하여 코드를 바꾸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부분을 대화창이나 선택창으로 관리자가 쉽게 입력하고 바꿀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