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m은 화상도구지만 인터넷 생방송을 할 수도 있습니다. 또 Zoom의 녹화 기능을 이용해서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OBS 은 Open Broadcaster Software의 약어로서 방송용으로 사용되지만 다양한 화면 구성기능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작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자의 캐릭터를 변경하거나 실시간 효과를 줄 수 있는 스냅 메신저와 같이 사용하면 매우 창의적인 비디오 제작이 가능합니다.
각 소프트웨어의 결합과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위주로 구분하여 설명해 보겠습니다.
① 기본적으로 중 웹캠과 연결하여 Zoo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 의 경우에는 웹캠을 장착 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웹캠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희 수업 중에도 학생들의 대다수가 웹캠이 없는 컴퓨터 에서 접속 하는 경우가 많아, 따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접속하기를 요구하였습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두 개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관리의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습니다. 스마트폰을 컴퓨터 또는 노트북의 웹캠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하고 그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앱이 존재합니다.
②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여 웹캠을 대체하여 Zoom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앞서의 블로그 포스트에서 IRIRUN과 DroidCAM의 앱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니 참고 하기 바랍니다.
③ 스냅 메신저를 사용하면 일반 웹캠 에서 캐릭터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이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의 블로그 포스트에서 설명했습니다.
④ 스냅 메신저는 휴대폰으로 연결 된 웹캠에서도 캐릭터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이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의 블로그 포스트에서 설명했습니다.
⑤ OBS 에서는 버추얼 캠을 설치하면 줌의 개인 사진을 대체하여 비디오를 송출 할 수 있습니다. OBS는 동영상 저작 방식으로도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7번 항목에서 더 자세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버추얼 카메라의 설치 방법은 다음 의 정보를 확인 하십시오. OBS의 전체적인 설정은 다음의 정보를 확인 하십시오
⑥ 페이스북이나 YouTube 의 앱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직접 live 방송을 송출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따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 하지 않고 편리하게 스마트폰으로 방송을 개시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스마트폰에 연결할 수 있는 고급 마이크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⑦ Quicktime player: Explain everything, 51, 화면 레이어, 크로마키(투명도), 음성 (잡음 제거, 컴프레서)
⑧ Zoom 을 직접 라이브 스트리밍 하는 방법은 다음의 정보를 참고하십시요
⑨ Zoom 으로 동영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⑩ OBS로 직접 라이브 스트리밍 하는 방법은 다음의 정보를 참고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