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Zoom 많이 사용합니다. 학기 중에 Zoom을 사용하여 수업을 하는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카메라입니다. 학생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얼굴을 보면서 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학생들은 컴퓨터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웹 캠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노트북도 카메라가 장착되지 않은 모델이 많습니다.
아쉬운대로 데스크톱으로도 로그인하고 휴대폰으로도 로그인해서 두개의 계정으로 들어와도 된다고 하여 그리 운영하였는데, 아무래도 계정이 두개이다 보니 쓸데없이 사용자 화면을 차지하기도 하고 무언가 비효율적이라는 느낌을 피할 수 없었는데요… 그래서 학생들에게 일전 블로그 처럼 휴대폰을 연결해서 웹캠 대용으로 설치해 보라 했는데 이런 이유 저런 이유로 제대로 한 학생을 못 보았습니다.
방학도 되고 해서 그게 불가능한가 답답하여 제가 시도해 보았는데요. 누구라도 그러하듯이 카메라의 좋은 화질을 선호하는데, 의외로 휴대폰의 카메라가 일반 웹 캠의 성능보다 훨씬 만족 스럽습니다. 또 사용하지 않은 휴대폰도 비교적 최근 것이라면 웹캠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줍니다. 기본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은 휴대폰에 관련 앱을 설치하여 무선이나 유선으로 컴퓨터와 연결한 후 컴퓨터 쪽에 관련 애플리케인셔을 설치하면 앱과 연동하여 웹캠으로 작동합니다. 연결 방식에는 유무선 인터넷과 USB를 이용한 직접 연결등이 가능합니다.
먼저 안쓰는 휴대폰을 깨끗히 정리해서 전용 웹캠으로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사용중인 휴대폰을 웹캠으로 사용하면 사용중 전화가 온다던지 메신저등의 알람 기능으로 정신이 없습니다. 휴대폰은 그냥 사용할 수도 있지만 깨끗하게 초기화를 하여 사용하는게 바람직합니다. 이방법은 다음의 정보를 참고하십시오.
웹에서 찾아보니 IRIUN과 DroidCAM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여기 참고)
저는 IRIUN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USB를 사용하는 것이 무선 와이파이보다 속도도 좋아서 동영상 저작을 주로 하는 데 유익할 것 같아서요. USB 연결잭을 사용하기 싫으면 무선 와이파이로 접근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
- 앱을 설치: 구글 플레이에서 IRIUN을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 US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드로이드의 개발자 디버그를 설정(설명 참조)
- 컴퓨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설치 앱별로 데스크톱에 설치할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해 줍니다. IRIUN의 경우는 다음 장소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저는 맥을 사용해서 맥용 dmg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문제 USB 사용과 WiFi 사용 모두 문제 없이 구동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윈도우 사용자들을 위해 윈도우에서 설치한 사례를 다음과 같이 공유합니다.
화질은 웹캠보다 깨끗합니다. 스냅 카메라와 OBS 등을 연계해서 사용하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다음 포스트에서 소개하겠습니다.
USB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USB 단자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른 단자를 연결 하여 보고, 다음에는 USB 케이블이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봅니다. USB 단자의 문제점과 케이블의 이상을 확인 하기는 매우 어려우나 다른 종류의 USB 케이블을 사용해서 확인하여 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프로그램을 종료 하고 시작하기를 반복하거나 시스템을 재시작함으로써 동작 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 하기 바랍니다. 저 역시 유사한 문제를 많이 겪었으나 케이블을 교체 확인하여 다음과 같이 갤럭시 노트 9 (C-type) 과 구형의 갤럭시 S 버전(Micro B-type)에서 모두 USB 연결로 웹캠 구현에 성공하였고 모두 자동으로 인식이 되었습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드로이드의 경우 USB 디버깅 모드를 먼저 활성화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구형 갤럭시 S 모델>
<갤럭시 노트 9>
비디오 동영상을 만들거나 생방송 중에도 여러개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경우에는 와이파이로 연결 한 경우에는 USB로 연결 한 경우 보다 속도가 느려서 원활하게 목소리와 화면이 동기화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가급적 USB를 이용하여 연결하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