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ODA 사업이 확산되면서 외국에서 우리나라의 발전된 교육 모델을 배우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관심 국가에 따라 이러닝 하드웨어 또는 네트워크 환경과 솔루션, 콘텐츠, 서비스들이 각각 다르므로, 각 지역에 알맞은 보급 및 확산 방법이 필요하지만 오픈소스 교육 도구의 활용과 같은 내용은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KERIS에 이슈 리포트를 하나 작성한 것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개발도상국에 공통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이러닝 환경의 구축에 대해 제안하였습니다. 이미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이러닝 솔루션,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조사를 기반으로 이러닝 환경을 최적의 조합으로 어떻게 구축할 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므로 비록 개도국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상화어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익한 내용이라할 수 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운로드 받으세요(한글)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I. 개요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II. 선행 연구/자료 분석
1. 국외 이러닝 도구 및 서비스
(1) 활용 사례 분석
(2) 주요도구
a. Moodle
b. Canvas
c. Blackboard
d. Khan academy
e. Edmodo
f. Schoology
g. Totara
h. 동영상[9]과 큐레이션 도구
i. Rapid prototyping
j. 프레젠테이션 분야
k. 반응형 퀴즈
(3) 시사점
2. 스마트 교육
(1) 활용사례 분석
(2) 국내 초중등 이러닝 활용 도구
a. 클래스팅
b. Google 문서 도구
c. Socrative
d. 생산성 관리도구 (노트, 마인드맵)
e. 프레젠테이션 도구
f. QR 코드
(3) 시사점
3. 오픈소스 솔루션
(1) 데스크톱 오픈소스
a. Linux를 교육용 플랫폼으로 사용하기
b. 오픈오피스
c. Chrome
d. Gimp
e. Inkscape
f. Audacity
g. Blender
h. VLC
(2) 수학 관련 오픈소스
a. Octave
b. Maxima
c. R-project
d. Python
e. GeoGebra
(4) 지식관리 도구
a. FreeMind
b. XMind
c. OKMindmap
(5) 오픈소스 솔루션
a. Moodle & LMS
b. Mahara
c. WordPress
d. Drupal
e. Alfresco
f. DSpace
(6) 가상화
a. VirtualBox
b. Docker
4. Moodle
(1) Moodle 플러그인의 종류
(2) 학습활동의 활용법
5. 오픈소스 콘텐츠
(1) 고등교육 OER 사이트 활용
a. 대학 Open Textbook
b. Learningpod
c. Lumen Learning
d. Merlot II
e. MIT Open Courseware/Online Textbook
f. OER Commons
g. Open Course Library
h. Open Education Consortium
i. Open Learning Initiative
j. OpenStax CNX
k. OpenStax College
l. OpenTextBookStore
m. Saylor.org
n. Spiral Physics
o. Teach Astronomy
p. The Orange Grove
(2) 오프라인 OER
① 범용 교육자료
② 범용 교재/교과서
③ 백과사전/사전/검색
④ 코딩
⑤ 수학
⑥ 문학/독서
⑦ 건강/의료
⑧ 기타
⑨ 온라인 강의
6. 디지털 수업모형 분석
(1) 교육 목적에 따른 이러닝 도구의 활용
(2) 학습 활용 유형
① 지식구성학습
② 토의・토론학습
③ 문제해결 학습
④ 교류학습
7. 캄보디아 현지 ICT 환경 분석
(1) 캄보디아 현지 ICT 환경 분석
① 사회적 인터넷 및 ICT 접속 환경 분석
② 초중등, 직업학교 관련 정보통신 인프라
③ 고등교육 관련 정보통신 인프라
④ 캄보디아의 주요 ICT 관련 지표
(2) 캄보디아의 교육제도
III. 도구 선정 및 활용 방안
1. 이러닝 환경 구축
(1) 환경별 환경 구축 방안
① 데스크톱 컴퓨터 활용 방안
② 인트라넷 활용 방안
③ 인터넷 활용 방안
2. 수업 프로토타입
(1) 이러닝 활용 시나리오
(2) Moodle 활용 강의 프로토타입
3.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