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주관식 질문을 자동으로 채점할 수 있나요? (Pattern Match)
객관식 질문의 경우 채점은 편리하지만, 학습자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답을 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해 주관식 질문에 대한 답을 컴퓨터가 채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기계에게 샘플 채점 사례를 많이 제공해서 기계가 학습을 해서 스스로 채점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이런 방법은 대규모 주관식 시험 채점에 이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무들에서는 간단한 문장의 주관식 채점이 가능한 “Pattern Match” 질문 유형이 있습니다. 주관식 질문에 대한 답은 매우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 대해 점수나 부분점수를 부여하려면 비교적 난이도 높은 채점 설정을 해야 합니다.
![]() |
“Pattern Match” 유형의 질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질문 추가에서 “Pattern Match” 유형 질문을 선택합니다. “Pattern Match” 유형의 질문은 사이트 관리자가 추가로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주관식 질문을 만든다고 합시다.
![]() |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해 “지구가 태양 주위로 공전하는데 지구의 자전축과 공전 축이 23.5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공전하기 때문” 이다. 라고 답을 쓰면 정답이 될 것입니다. 어떤 학습자는 “지구가 공전하는데 비뚤어진 상태에서 공전”하기 때문이라고 답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Pattern Match 유형의 질문에서는 문장 중에 특정 단어들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채점이 이루어집니다.
답안에 “지구, 자전, 공전, 축, 기울*”등의 단어가 들어가 있는 경우 100% 정답으로 인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답안에 입력하고 성적에 100%를 선택합니다.
![]() |
“지구, 자전, 공전, 축”등의 단어가 들어가 있는 경우 70% 정답으로 인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답안에 입력하고 성적에 70%를 선택합니다.
![]() |
여기서 _c 옵션은 문자열의 단어에 추가 글자들을 허용하는 것이고, _o 옵션은 단어의 순서가 무관해도 되며, _w 옵션은 입력한 단어 외에 다른 단어들이 있어도 된다는 옵션입니다.
학습자로 로그인 하고 답을 입력하면 채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자세한 사항은 무들 문서를 참고 하십시오. https://bit.ly/2KkHYq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