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강의 가이드북

From Dr.Ho's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ELearningBook.jpg

책은 이곳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코로나 사태 발생 이후 온라인 강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온라인 강의를 접하는 시대가 되었고 품질이 좋은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느냐를 고민하는 시점에 이르렀습니다. 아직 많은 교수자들이 온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구와 자원들에 대하여 잘 알고 있지 못합니다. OCW나 KMOOC와 같은 인터넷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학습자료의 활용 같은 자료는 재활용, 온라인 강의의 필수적인 인프라로서 LMS는 비동기식 교육뿐만 아니라 동기식 상황에서도 효과적 활용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잘 활용하면 많은 학습자가 있는 상황에서도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상황에 따라 각각의 학습자에 알맞은 학습 처방을 내리거나 학습 진행이 가능합니다.

스냅 메신저나 OBS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몰입도가 높은 동영상을 만들고 화상회의 시스템 운영중에 활용하여 흥미로운 학습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본 저서에서는 온라인으로만 학습 활동이 가능한 상황에서 이러한 다양한 플랫폼과 도구의 특성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방법과 기술들을 잘 활용하면 오프라인 교육에서 도저히 생각할 수 없었던 많은 교육적 성취를 이룰 수 있습니다.부디 일선 현장에 계신 많은 교수자들이 이런 기능을 잘 활용하여 수준 높고 즐거운 온라인 강의실을 운영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책의 일부 내용을 공개합니다.

1. 강의 법 6
가. 공부 잘 하는 법 6
나. 한국 교육 시스템의 문제 10
다. 새로운 시대의 수업 모형 13
라. 새로운 시대의 수업 방법 14
2. 온고잉 러닝 (Ongoing Learning) 19
가. 온라인 사용 대처법 19
나. 사전 비 화상회의 세션 25
1) OBS 사용하기 26
2) 무들 활동의 준비 44
다. 화상회의 세션 88
1) 줌 사용법 88
2) 사전학습 활동 103
3) 강의 전달 활동 105
4) 연습 학습 활동 107
5) SNS 활용법 115
6) 팀 활동 128
라. 사후 비 화상회의 세션 148
1) 과제 평가 모듈 148
2) 상호평가 활동 157
3) 녹화물 재활용하기 160
3. 오픈소스 솔루션 162
가. 데스크톱 오픈소스 162
1) Linux를 교육용 플랫폼으로 사용하기 162
2) 오픈오피스 165
3) Chrome 165
4) Gimp 166
5) Inkscape 167
6) Audacity 167
7) Blender 168
8) VLC 169
나. 수학 관련 오픈소스 169
1) Octave 169
2) Maxima 171
3) R-project 171
4) Python 172
5) GeoGebra 174
다. 지식관리 도구 175
1) FreeMind 175
2) XMind 176
3) Tubestory 176
라. 시스템 솔루션 177
1) Moodle과 LMS 177
2) Mahara 182
3) WordPress 183
4) Drupal 184
5) Alfresco 184
6) DSpace 185
마. 가상화 185
1) VirtualBox 185
2) Docker 186
4. 오픈소스 콘텐츠 186
가. 고등교육 OER 사이트 활용 187
나. 국외 오프라인 OER 193
1) 범용 교육자료 194
2) 범용 교재/교과서 194
3) 백과사전/사전/검색 194
4) 코딩 195
5) 수학 195
6) 문학/독서 195
7) 건강/의료 196
8) 기타 196
9) 온라인 강의 197
다. 국내 온라인 학습 자료/서비스 197
1) 학교온 (https://onschool.edunet.net) 197
2) Lucid Ryu 수학 유튜브 채널 (https://tinyurl.com/y6mdguy4) 199
3) 학교가자닷컴 (https://tinyurl.com/y3vjhazq) 199
4) 한국어 칸아카데미 서비스 (https://tinyurl.com/y7qavlak) 200
5) EBS “온라인 클래스” 201
5. 부록 203
- 휴대폰 앱으로 웹캠 대체 (https://tinyurl.com/y568bjlz) 203
- SCRCPY 설치하여 활용하기 205
- 온라인 학회 운영하기 207
- 개인 스튜디오 설치 210